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한보총, 새 정부 안전정책에 대한 국민인식도 조사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회장 정혜선)는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6.9(월)~6.10.(일) 2일간 전국 만19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새정부 안전정책에 대한 국민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민 10명 중 6명 우리나라 안전수준 심각하다고 인식”
조사결과 안전사고에 대한 우리나라 안전수준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60.3%)이 심각하다고 응답하였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69.1%, 60대에서 66.6%가 우리나라 안전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고, 직업별로는 농・임・어업(74.9%), 자영업(65.5%)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5명 자연재난 안전수준 심각하다고 인식”
자연재난에 대한 우리나라 안전수준에 대해 국민 10명 중 5명(53.9%)이 심각하다고 응답하였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66.5%, 60대에서 65.4%가 우리나라 안전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고, 직업별로는 가정주부(62.0%), 무직・은퇴・기타(60.1%)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6명 사회재난 안전수준 심각하다고 인식”
사회재난에 대한 우리나라 안전수준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61.1%)이 심각하다고 응답하였다.
연령별로는 70대에서 72.1%, 60대에서 67.5%가 우리나라 안전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고, 직업별로는 농・임・어업(69.8%), 자영업(67.2%)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7명 산업재해 안전수준 심각하다고 인식”
산업재해에 대한 우리나라 안전수준에 대해 국민 10명 중 7명(71.6%)이 심각하다고 응답하여, 자연재난이 심각하다(53.9%)는 응답과 사회재난이 심각하다(61.1%)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79.1%, 70대에서 77.7%가 우리나라 안전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고, 직업별로는 농・임・어업(79.2%), 가정주부(77.3%)에서 높게 나타났다.
새 정부가 중요하게 추진해야 할 안전정책 분야에 대해 1순위로 ‘산업안전 및 재해예방’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1순위와 2순위를 합친 결과에서도 ‘산업안전 및 재해예방’에 대한 응답이 51.5%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61.4%, 40대에서 58.9%가 ‘산업안전 및 재해예방’을 1순위로 응답하였고, 직업별로는 자영업(58.5%), 학생(55.8%)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7명 중대재해처벌법이 산재예방에 도움된다고 응답”
중대재해처벌법이 산업재해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74.0%로 나타났다.
2023년 조사에서는 60.2%가 도움이 된다고 하였고, 2024년 조사에서는 69.8%가 중대재해처벌법이 산재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는데, 금년조사에서는 그보다 더 높은 74.0%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83.2%, 50대에서 80.1%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직업별로는 학생 79.7%, 사무・경영・관리・전문직에서 77.1%가 중대재해처벌법이 산재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국민 10명 중 6명 중대재해처벌법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
중대재해처벌법의 향후 운영에 대해 현재보다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64.2%, 현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21.4%이었으며, 현재보다 완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10.6%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72.9%, 40대에서 65.6%가 현재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직업별로는 무직・은퇴・기타 73.1%, 학생 71.8%가 현재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산재감소 위해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 필요”
산재를 감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정부의 철저한 감독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27.2%로 1순위이었고, ‘사업주의 적극적인 투자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24.1%로 2순위로 나타났다.
지난 해 조사에서는 ‘사업주의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25.0%로 1순위이었고, ‘근로자의 안전수칙 준수’가 22.5%로 2순위이었는데, 금년조사에서는 정부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정부의 철저한 감독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응답에 대해 연령별로는 60대 33.6%, 70대 32.2%이었고, 직업별로는 가정주부 36.5%, 무직・은퇴・기타 32.5% 이었다.
“국민 10명 중 7명 산업안전보건본부를 산업안전보건청으로 격상 필요”
고용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본부를 산업안전보건청으로 격상하는 것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이 65.6%이었고, 반대하는 의견이 19.8% 이었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72.4%, 50대에서 69.6%가 산업안전보건청으로 격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직업별로는 학생 72.4%, 무직・은퇴・기타의 70.2%가 산업안전보건청으로 격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를 진행한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정혜선 회장은 ‘새 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안전분야 중 산업안전분야의 중요성이 1순위로 나타나 여러 안전분야 중에서도 산업안전분야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높다’고 말하고, ‘새로 출범한 이재명 정부에서 산업안전보건 문제를 개선해 일터의 안전을 보장해 주기를 희망한다’고 하였다.
특히 정혜선 회장은‘일부 정치권이나 경영계의 의견과 달리 국민의 64.2%가 중대재해처벌법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며, ‘중대재해처벌법이 제대로 시행되어 실질적인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