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 절곡 등 판금가공업 주요공정
1. 주요 공정 • 원자재 인입 및 적재: 코일, 철판 등의 원자재를 운반하고 쌓는 과정입니다. 지게차, 크레인, 운반용 대차 등이 사용됩니다. • 절단(샤링, 프라즈마, 레이저): 원자재를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자르는 과정입니다. • 샤링(Shearing): 판금 가위로 철판을 자르는 방식입니다. • 프라즈마(Plasma): 고온의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하여 금속을 녹여 자르는 방식입니다. • 레이저(Laser):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절단하는 방식입니다. • 절곡(Bending): 절단된 금속판을 원하는 각도로 접는 과정입니다. 주로 절곡기(Bending Machine)를 사용합니다. • 타공/성형: 금속판에 구멍을 뚫거나 원하는 형태로 압력을 가해 모양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프레스, 펀칭기 등이 사용됩니다. • 용접: 여러 부품을 접합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아크 용접, TIG 용접 등이 있습니다. • 후처리: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 처리(연마, 도색 등) 과정입니다. • 제품 출하 및 적재: 완성된 제품을 포장하여 출하장으로 운반하고 쌓는 과정입니다.
2. 공정별 주요 위험 요인 및 평가 항목 1. 원자재 인입 및 적재 • 위험 요인: 자재 낙하, 협착, 전도(넘어짐) • 평가 항목: • 지게차 운전원의 안전 교육 이수 여부 • 크레인 와이어 로프, 후크 등 점검 상태 • 자재 적재 시 전도 방지 조치(깔판, 쐐기 등) • 운반 경로 내 장애물 유무 2. 절단 공정(샤링, 프라즈마, 레이저) • 위험 요인: 손가락, 팔 등 신체 협착, 절단(베임), 화재, 유해가스, 비산물(파편) • 평가 항목: • 방호 장치: 광전자식 안전장치, 양수 조작식 제어 장치 등의 작동 상태 • 개인 보호구: 보안경, 방진/방독 마스크, 내열 장갑 착용 여부 • 안전 수칙: 가공물 고정 및 작업 중 손 사용 금지 수칙 준수 • 환기 시설: 유해가스 발생 시 국소배기장치 등 환기 시설 작동 상태 • 화재 예방: 작업장 주변 가연물 제거 및 소화기 비치 상태 3. 절곡 공정 • 위험 요인: 프레스 금형에 손가락, 팔 등 신체 협착, 절단 • 평가 항목: • 방호 장치: 광전자식 안전장치, 양수 조작식 제어 장치 작동 여부 • 안전 수칙: 가공물 투입 및 제거 시 안전거리 유지 • 금형 상태: 금형의 균열, 파손 등 이상 유무 4. 타공/성형 • 위험 요인: 프레스 금형에 협착, 비산물(파편), 금형 낙하 • 평가 항목: • 방호 장치: 방호울, 방호 덮개 등 설치 상태 • 개인 보호구: 보안경, 안전화 등 착용 여부 • 금형 고정: 금형의 견고한 고정 상태 5. 용접 공정 • 위험 요인: 감전, 화재, 유해가스, 아크 광선에 의한 안구 손상 • 평가 항목: • 안전 수칙: 접지 상태, 절연 장갑 착용, 용접기 전선 피복 손상 유무 • 개인 보호구: 용접용 보안면, 불꽃 방지 앞치마, 용접 장갑 착용 • 환기 시설: 유해가스 배출을 위한 국소배기장치 작동 상태 • 화재 예방: 소화기 비치 및 주변 가연물 제거 6. 제품 출하 및 적재 • 위험 요인: 자재 낙하, 전도(넘어짐), 허리 부상 • 평가 항목: • 운반 장비: 지게차, 크레인 등 운반 장비의 안전 점검 • 적재 방법: 전도 방지 조치 및 허리 부상 예방을 위한 운반용 보조기구 사용 • 작업 환경: 바닥의 미끄러움, 장애물 유무
추가 고려 사항: • 작업자 교육: 모든 작업자에 대한 안전보건 교육 이수 여부 • 설비 관리: 정기적인 설비 점검 및 보수 이력 관리 • 작업 환경: 정리정돈 상태, 조명, 환기 등 쾌적성 • 비상 대책: 화재, 감전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한 대피 및 조치 계획 수립 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