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고무제품 제조업 위험성평가표2025-08-27 16:31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68. 고무제품 제조업 위험성평가표.xlsx (21.6KB)

고무제품 제조업 주요공정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고무제품 제조업 공정은 대규모 사업장과 유사한 공정을 거치지만, 상대적으로 자동화 설비가 부족하고 수작업 의존도가 높으며, 

안전 관리 전담 인력이 없는 경우가 많아 산업재해 위험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각 공정의 위험 요인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실질적인 안전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가소화 및 혼합 공정

    • 주요 설비:오픈롤(Open Roll), 믹서

    • 위험 요인:

    • 끼임 및 감김:오픈롤에 신체 일부나 작업복이 말려들어가는 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특히, 롤에 말려들어간 고무를 손으로 제거하거나 이물질을 뺄 때 사고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화학물질 노출:분말 형태의 첨가제(카본블랙, 충전제 등)를 계량하고 혼합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여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화상:롤러의 고온 표면이나 혼합된 고무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안전 관리 방안:

    • 롤러에 **비상정지 장치(Emergency Stop Bar)**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항상 점검합니다.

    • 안전 난간 또는 방호벽을 설치하여 롤러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에는 국소 배기 장치를 설치하고, 작업자는 방진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합니다.


2. 성형 공정

    • 주요 설비:압출기, 압축 성형기, 사출 성형기

    • 위험 요인:

    • 끼임 및 절단:가열된 프레스나 금형에 재료를 넣고 빼는 과정에서 손이 끼이거나 잘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화상:금형, 배럴 등 고온의 설비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근골격계 질환:수동으로 금형을 운반하거나 제품을 반복적으로 성형하는 작업으로 인해 허리, 어깨 등의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안전 관리 방안:

    • 성형기에는 양수 조작식 안전 장치, 안전 문등 방호 장치를 설치합니다.

    • 작업 전에는 반드시 설비의 전원을 차단하고, 잔열이 충분히 식은 후에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합니다.

    • 중량물 운반 시에는 운반 보조 기구를 사용하고, 작업 시 적절한 휴식을 취합니다.


3. 가황 공정

    • 주요 설비:가황 프레스, 증기 가마

    • 위험 요인:

    • 화상:고온의 증기 및 열로 인해 심각한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폭발:가황기 내부의 압력 상승 및 노후화된 설비로 인해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 유해가스 노출:가황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증기나 가스(예: 황화수소) 흡입으로 인한 건강 장애 위험이 있습니다.

 - 안전 관리 방안:

    • 가황기의 압력계, 안전 밸브등 안전 장치가 정상 작동하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합니다.

    • 고온의 증기 배관에는 단열 처리를 하고, 작업자는 내열 장갑을 반드시 착용합니다.

    •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환기 시설을 설치하고, 작업자는 방독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4. 공통 안전 관리 사항

    • 위험성 평가 실시:사업주와 근로자가 함께 작업장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수립해야 합니다.

    • 안전 교육:작업자에게 각 공정의 위험 요인과 안전 작업 절차에 대해 정기적으로 교육합니다.

    • 개인 보호구 지급 및 착용:작업 특성에 맞는 방진 마스크, 안전화, 내열 장갑, 보안경등 개인 보호구를 지급하고, 착용 여부를 관리합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