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직물원단 가공업2025-07-23 00:49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직물원단 가공업 위험성평가표.xlsx (53KB)

직물원단 가공업의 주요 공정


1. 전처리 공정 (Preparation)

   원단 가공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로, 제직 과정에서 생기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염색이나 후가공이 잘 되도록 원단을 깨끗하게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 모소 (Singeing/Gassing):직물 표면에 있는 잔털이나 보풀을 가스 불꽃이나 뜨거운 판 위로 통과시켜 태워 제거하는 공정입니다. 원단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보풀 발생을 줄여줍니다.

   • 호발 (Desizing):제직 과정에서 경사(날실)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도포했던 풀(사이즈제)을 제거하는 공정입니다. 풀이 남아있으면 염색이나 다른 가공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필수적입니다.

   • 정련 (Scouring):섬유에 포함된 천연 불순물(기름, 왁스 등)이나 인위적인 오염 물질(얼룩 등)을 알칼리성 용액 등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입니다. 원단의 흡수성을 높여줍니다.

   • 표백 (Bleaching):직물에 남아있는 색소를 제거하여 백색도를 높이는 공정입니다. 특히 흰색 원단을 만들거나 밝은 색으로 염색할 때 중요합니다.

   • 머서화 (Mercerizing/실켓 가공):면 직물을 강알칼리성 용액(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면의 강도, 광택, 염색성,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입니다.

   • 폭출 (Tentering):직물의 폭과 길이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열처리를 통해 형태를 고정시키는 공정입니다. 염색 전 원단의 밀도를 규격에 맞추고 안정성을 부여합니다.


2. 염색 및 날염 공정 (Coloration: Dyeing & Printing)

   원단에 색상을 부여하는 공정입니다.

   • 염색 (Dyeing):직물 전체에 색소를 균일하게 침투시켜 원하는 색상을 입히는 공정입니다.

      • 침염 (DIP Dyeing):원단을 염료가 담긴 욕조에 담가 염색하는 방식입니다.

     • 연속 염색:원단을 연속적으로 염색액에 통과시키면서 염색하는 대량 생산 방식입니다.

   • 날염 (Printing):직물 표면에 특정 패턴이나 디자인을 염료로 찍어내는 공정입니다.

      • 스크린 날염 (Screen Printing):스크린을 사용하여 패턴을 찍는 방식입니다.

      • 롤러 날염 (Roller Printing):롤러를 사용하여 패턴을 찍는 방식입니다.

      • 디지털 날염 (Digital Printing):잉크젯 프린터와 유사하게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인쇄하는 방식입니다.


3. 후처리 공정 (Finishing)

   염색 또는 날염이 끝난 원단에 다양한 물리적/화학적 처리를 통해 촉감, 외관, 기능성 등을 향상시키는 공정입니다. 이 단계에서 원단의 최종적인 특성이 결정됩니다.

   • 수세 (Washing):염색 또는 날염 후 원단에 남아있는 잔류 염료나 화학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하는 공정입니다.

   • 건조 (Drying):세척된 원단의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입니다.

   • 수지 가공 (Resin Finishing):직물의 구김 방지, 형태 안정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수지(Resin)를 처리하는 공정입니다.

   • 광택 가공 (Calendering):고온, 고압의 롤러 사이로 원단을 통과시켜 표면을 매끄럽고 광택이 나게 하는 공정입니다.

   • 방축 가공 (Sanforizing/Pre-shrinking):세탁 시 원단의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리 수축시키는 공정입니다.

   • 기모 (Napping):직물 표면의 섬유를 긁어 올려 보풀을 형성하여 부드러운 촉감과 보온성을 부여하는 공정입니다 (예: 플란넬, 기모 안감).

   • 전단 (Shearing):기모 등으로 형성된 보풀이나 남아있는 잔털을 일정한 높이로 잘라 표면을 고르게 하는 공정입니다.

   • 방수/발수 가공 (Waterproofing/Water-repellency):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가공입니다.

   • 난연 가공 (Flame Retardant Treatment):불에 잘 타지 않도록 하는 가공입니다.

   • 소취/항균 가공 (Deodorant/Anti-bacterial Treatment):냄새를 제거하거나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가공입니다.

   • 연화 가공 (Softening):원단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는 가공입니다.


4. 검사 및 정단/포장 (Inspection & Rolling/Packaging)

   모든 가공이 완료된 원단의 최종 품질을 확인하고, 출하를 위해 준비하는 단계입니다.

   • 검사 (Inspection):완성된 원단의 색상, 폭, 길이, 결점 여부 등을 육안 또는 기계로 확인하는 공정입니다.

   • 정단 (Rolling):검사를 마친 원단을 정해진 길이와 폭으로 정확하게 재단하고 롤 형태로 감는 공정입니다.

   • 포장 (Packaging):롤 형태로 감긴 원단을 습기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운반하기 쉽도록 포장하는 공정입니다.


이러한 공정들은 원단의 종류(면, 울, 합성섬유 등), 최종 제품의 용도(의류, 산업용, 홈텍스타일 등), 요구되는 기능성 등에 따라 순서나 방법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각 공정마다 전문적인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며, 환경 규제 및 안전 관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