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자동차 흡음제 제조업 위험성평가표2025-07-23 01:43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20. 자동차 흡음제 제조업 위험성평가표.xlsx (23.7KB)

자동차 흡음제 제조업의 주요 공정

자동차 흡음제는 차량 내부의 소음과 진동을 줄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일반적으로 부직포, 펠트, 발포 고무, 또는 복합 재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그 제조 공정은 사용되는 재료와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됩니다.

주요 공정은 크게 원재료 준비 및 혼합, 성형/가공, 후처리 및 검사/포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원재료 준비 및 혼합 공정

   흡음제의 성능과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입니다.

   • 원재료 입고 및 분류:부직포 원단, 펠트 롤, 고무 시트, 발포용 원료(수지, 발포제, 첨가제 등), 접착제, 보강재 등이 입고되면 종류별로 분류하고 보관합니다.

   • 배합 및 혼합:

      • 발포 흡음재의 경우:액상 또는 고상 형태의 고분자 수지(예: 폴리우레탄, 고무)에 발포제, 난연제, 보강재(예: 섬유), 색소 등 다양한 첨가제를 정밀하게 계량하여 혼합합니다. 균일한 물성을 얻기 위해 교반기 등을 사용합니다.

      • 부직포/펠트 흡음재의 경우:주로 롤 형태로 입고되므로, 필요한 경우 섬유를 개봉하고 혼타면 과정을 거쳐 균일하게 섞습니다.


2. 성형 및 가공 공정

   혼합된 원료를 제품의 형태와 크기로 만들거나, 원단 상태의 재료를 가공하는 단계입니다.

   • 발포 (Foaming):

      • 혼합된 원료를 특정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발포시켜 다공성 구조의 시트나 블록 형태로 만듭니다. (예: 폴리우레탄 폼, EPDM 폼)

      • 연속 발포:긴 벨트 위에서 원료를 발포시켜 연속적으로 시트 형태로 생산합니다.

      • 블록 발포:큰 틀 안에서 원료를 발포시켜 블록 형태로 만든 후, 이를 슬라이싱하여 시트로 만듭니다.

   • 부직포/펠트 성형 (Non-woven/Felt Forming):

      • 웹 형성 (Web Forming):섬유를 카드(Card) 공정이나 에어레이드(Air-laid) 공정을 통해 일정한 두께의 웹(Web) 형태로 만듭니다.

      • 결합 (Bonding):형성된 웹을 열(Hot Air Through Bonding), 화학 접착제(Chemical Bonding), 또는 기계적 방식(Needle Punching)으로 결합하여 펠트나 부직포 형태의 원단을 완성합니다.

   • 재단/절단 (Cutting):성형된 흡음재 원단(시트 또는 롤)을 자동차 설계 도면에 맞춰 프레스, 레이저 절단기, 워터젯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필요한 형상과 크기로 정밀하게 재단합니다.

   • 접착/합지 (Laminating/Adhesion):

      • 서로 다른 종류의 흡음재(예: 폼과 부직포)를 합치거나, 표면에 부직포, 알루미늄 필름, 비닐 등 마감재를 접착하여 복합 구조의 흡음재를 만듭니다.

      • 주로 열 라미네이션 또는 접착제 도포 방식을 사용합니다.

   • 성형 프레스 (Molding Press):평평한 시트 형태의 흡음재를 자동차 차체 형상에 맞게 열과 압력을 가하여 굴곡진 형태로 성형합니다. (예: 대시보드, 휠 하우스, 트렁크 등)


3. 후처리 및 검사/포장 공정

   가공된 흡음재를 최종 제품화하고 품질을 확인하여 출하하는 단계입니다.

   • 건조/경화 (Drying/Curing):발포 또는 접착 과정에서 사용된 수분이나 용제를 제거하고 재료의 안정적인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조 또는 경화 과정을 거칩니다.

   • 트리밍/마감 (Trimming/Finishing):성형 또는 재단된 제품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모서리를 다듬어 깔끔하게 마감합니다.

   • 품질 검사 (Quality Inspection):완성된 흡음재의 두께, 밀도, 경도, 흡음 성능(음향 투과 손실), 난연성, 치수 정확도 등을 검사하여 품질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합니다. 

                                                      육안 검사를 통해 이물질 혼입이나 표면 불량 여부도 점검합니다.

   • 라벨링/표식 (Labeling/Marking):제품에 필요한 정보(부품 번호, 제조일자 등)를 라벨링하거나 직접 표기합니다.

   • 포장 (Packaging):제품의 종류와 고객 요구사항에 따라 개별 포장하거나 여러 개를 묶어 박스 또는 팔레트에 적재합니다. 운송 중 제품 손상을 방지하고, 적재 및 하역 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출하 (Shipment):포장된 제품을 고객사로 운송하기 위해 출하 준비를 하고 지정된 운송 차량에 상차합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