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위생용 종이제품 제조업 위험성평가표2025-08-22 16:41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62. 위생용 종이제품 제조업 위험성평가표.xlsx (21KB)

위생용 종이제품 제조업의 주요 공정


위생용 종이제품 제조업의 주요 공정은 펄프를 준비하고, 종이를 만들고, 이를 최종 제품으로 가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각 공정별로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작업과 잠재적 위험 요소를 정리해 드릴게요.


1. 조성 공정 (펄프 준비)

 - 이 공정은 종이 원료인 펄프를 풀어주고 배합하는 단계입니다.

   • 주요 작업: 해리(펄프를 물에 풀어주는 작업), 고해(섬유를 미세하게 가공하는 작업), 혼합(각종 약품 첨가).

   • 주요 위험 요인:

   • 회전체 끼임: 해리, 고해 기계의 회전부에 신체가 끼일 수 있습니다.

   • 화학물질 접촉: 혼합 과정에서 사용되는 약품(응집제, 증강제 등)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감전: 전기 설비나 기계의 누전으로 감전될 수 있습니다.


2. 초지 공정 (종이 제조)

 - 원료를 종이 시트로 만드는 핵심 과정입니다.

   • 주요 작업: 지층 형성(원료를 와이어에 펼치는 작업), 압착 및 탈수(프레스 롤러로 물기를 짜내는 작업), 건조(고온 드라이어로 종이를 말리는 작업).

   • 주요 위험 요인:

   • 고온 접촉: 건조기(드라이어)의 고온 표면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회전 롤러 협착: 압착 롤러나 건조기 롤러에 신체가 끼일 수 있습니다.

   • 미끄러짐 및 넘어짐: 물기가 있는 바닥이나 종이 찌꺼기로 인해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3. 후가공 및 완정 공정 (제품 가공)

완성된 종이 원단을 제품 형태로 만들고 포장합니다.

   • 주요 작업: 엠보싱(패턴을 새기는 작업), 재단(제품 규격에 맞게 자르는 작업), 포장(제품을 포장하는 작업).

   • 주요 위험 요인:

   • 날카로운 칼날 접촉: 재단기의 칼날에 손가락 등이 베일 수 있습니다.

   • 회전체 협착: 롤러나 컨베이어 벨트에 신체가 끼일 수 있습니다.

   • 낙하 및 충돌: 무거운 종이 롤이나 제품 박스를 운반하다가 떨어뜨려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근골격계 질환: 반복적인 작업이나 무거운 물건을 들고 나르는 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