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드 등 접착제 제조업 주요공정
본드 등 접착제 제조업은 크게 원료를 준비하는 공정, 화학 반응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그리고 완성된 제품을 포장하는 공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공정별로 위험성 평가를 위한 주요 작업과 잠재적 위험 요소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원료 투입 및 혼합 공정 이 공정은 다양한 화학물질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접착제의 기본 성분을 만드는 단계입니다. • 주요 작업: 원료 계량, 반응기 투입, 혼합. • 주요 위험 요인: • 화학물질 노출: 유기 용제, 모노머, 촉매 등 유해한 화학물질이 누출되거나 증발하여 호흡기 및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화재 및 폭발: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기 때문에 정전기, 스파크 등에 의해 화재나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장비 오작동: 교반기(믹서)나 펌프 등 기계의 오작동으로 인해 협착이나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낙하 및 충돌: 무거운 원료 드럼통 등을 운반하다가 떨어뜨려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2. 화학 반응 및 중합 공정 혼합된 원료를 특정 온도와 압력 하에 반응시켜 접착제의 고유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폴리머)를 만듭니다. • 주요 작업: 반응기 가열 및 냉각, 압력 조절, 반응 시간 관리. • 주요 위험 요인: • 화학 반응 폭주: 온도나 압력이 급격히 변하여 반응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면 폭발할 수 있습니다. • 고온/고압 설비 파열: 노후된 반응기나 배관이 높은 압력이나 온도에 의해 파열될 수 있습니다. • 화재 및 폭발: 반응 중 발생하는 가스나 증기에 의해 화재 및 폭발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 감전: 고온/고압 설비 주변의 전기 장치에서 누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제품 저장 및 포장 공정 완성된 접착제를 저장 탱크에 옮기거나 소분하여 포장하는 단계입니다. • 주요 작업: 저장 탱크 이송, 용기(튜브, 병, 통) 충전, 밀봉 및 라벨 부착, 최종 포장. • 주요 위험 요인: • 화학물질 노출: 소분 및 포장 과정에서 접착제나 용제가 누출되어 피부에 닿거나 흡입될 수 있습니다. • 낙하 및 충돌: 충전된 제품 용기나 포장된 박스를 운반하다가 떨어뜨려 부상을 입거나 제품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 근골격계 질환: 반복적인 소분, 포장, 운반 작업으로 인해 허리, 팔, 손목 등에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계 협착: 컨베이어 벨트나 충전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에 신체 일부가 끼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