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기타 전기기계기구 제조업 위험성평가표2025-08-25 13:05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64. 기타전기기계기구 제조업 위험성평가표.xlsx (24.6KB)

기타 전기기계기구 제조업의 위험성평가 주요 공정

기타 전기기계기구 제조업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은 크게 설계/제작, 조립/설치, 검사/테스트, 그리고 유지보수로 나눌 수 있으며, 각 공정별로 주요 위험 요인을 평가해야 합니다.


1. 설계 및 부품 제작 공정

 - 이 단계에서는 기계적, 전기적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위험 요인: 설계 오류로 인한 오작동, 부품 가공 중 회전체에 의한 끼임, 절단, 절삭 공구에 의한 베임/절단, 금속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 및 흄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이 있습니다. 

      특히 용접 작업은 감전, 화상, 유해가스 흡입의 위험이 높습니다.

    • 평가 중점: 설계 도면 검토를 통해 전기적 안전장치, 방호장치 설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구 착용 및 작업 절차 준수 여부를 평가해야 합니다.


2. 조립 및 설치 공정

 - 이 단계에서는 부품 조립 및 기기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 위험 요인: 무거운 부품 운반 시 떨어짐/낙하, 부품 결합 시 손 끼임, 전선 연결 시 감전, 조립 작업 중 넘어짐등이 흔히 발생합니다.

    • 평가 중점: 전원 차단(LOTO, Lockout/Tagout) 절차의 준수 여부, 절연 장갑 등 개인보호구의 적정 사용 여부, 작업 공간의 정리정돈 상태를 평가합니다. 

      특히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 대상 기기의 잔류 전하를 방전시키는 절차를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3. 검사 및 테스트 공정

 - 완성된 제품의 성능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고전압 및 회전체로 인한 위험이 존재합니다.

    • 위험 요인: 절연 불량으로 인한 감전, 회전 시험 중 회전체에 의한 끼임, 시험 중 부품 파손으로 인한 파편 비산등이 있습니다.

    • 평가 중점: 고전압 테스트 시 충전부 방호 조치 여부, 테스트 장비의 정기적인 검사 및 관리 상태, 작업 시 접근 한계거리 설정 여부를 평가합니다.



4. 유지보수 공정

생산 설비의 유지보수 작업은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예측하기 어려운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위험 요인: 전원 미차단 상태에서의 감전, 설비의 불시 가동으로 인한 끼임,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 시 질식, 유증기 등으로 인한 화재/폭발위험 등이 있습니다.

    • 평가 중점: 유지보수 작업 시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잠금장치(Lock) 및 꼬리표(Tag)를 부착하는 LOTO 절차가 제대로 지켜지는지, 작업 허가 절차는 

      적절한지 등을 철저히 평가해야 합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