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산업용 기계장치 제조업의 주요 공정
일반산업용 기계장치 제조업의 위험성평가 주요 공정은 크게 재료 준비 및 가공, 용접 및 조립, 시험 및 검사, 포장 및 출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공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감소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재료 준비 및 가공 공정 • 재료를 절단, 성형, 가공하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기계와 공구가 사용되므로 기계적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 • 주요 공정: • 절단: 톱, 레이저 절단기, 워터젯 절단기 등을 사용해 재료를 필요한 형태로 자릅니다. • 성형: 프레스, 벤딩기 등을 이용해 재료를 구부리거나 원하는 형태로 만듭니다. • 가공: 선반, 밀링, 드릴링 머신 등 공작기계를 이용해 정밀하게 깎아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끼임/감김: 회전하는 기계 부품이나 이송 장치에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감길 수 있습니다. • 베임/절단: 날카로운 절단 공구나 가공물에 의해 베이거나 절단될 수 있습니다. • 충돌: 운반 중인 재료나 지게차 등 장비에 충돌할 수 있습니다. • 비산물: 가공 중 칩, 절삭유, 파편 등이 튀어 눈이나 신체에 상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 위험성 감소 대책: • 안전장치 설치: 프레스 등의 위험한 부위에는 방호덮개, 양수조작식, 광전자식 안전장치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 개인보호구 착용: 안전장갑, 보안경, 안전화등을 반드시 착용하도록 합니다. • 작업 절차 준수: 기계 작동 전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정해진 작업 절차를 따르도록 교육합니다.
2. 용접 및 조립 공정 • 가공된 부품들을 용접하거나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해 조립하는 단계입니다. 이 공정에서는 화재, 폭발, 유해물질 노출 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 주요 공정: • 용접: 전기 용접, 가스 용접 등으로 부품을 접합합니다. • 조립: 부품들을 결합하고 고정하는 작업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화재/폭발: 용접 불꽃, 스파크 등에 의한 화재나 인근 가연성 물질에 의한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 유해물질 노출: 용접 시 발생하는 흄(Fume), 가스, 분진등에 노출되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감전: 전기 용접기 등 전기 장비 사용 중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낙하: 조립 중 부품이나 공구가 떨어져 작업자를 덮칠 수 있습니다. • 위험성 감소 대책: • 환기 시설: 용접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국소배기장치등 환기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 화재 예방: 작업장 주변에 소화설비를 비치하고, 인화성 물질을 격리합니다. • 개인보호구 착용: 용접면, 방진마스크, 보호복, 안전장갑등을 착용해야 합니다. • 접지: 전기 장비의 접지상태를 확인하고, 절연된 보호구를 사용합니다.
3. 시험 및 검사 공정 • 제조된 기계장치의 성능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기계 작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평가해야 합니다. • 주요 공정: • 시운전: 완성된 기계를 실제로 작동시켜봅니다. • 성능 검사: 진동, 소음, 온도, 압력 등 성능 지표를 측정합니다. • 주요 위험요인: • 작동 중 사고: 시운전 중 기계 오작동으로 인한 끼임, 절단, 충돌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음/진동: 장시간의 소음과 진동에 노출될 경우 청력 손실, 근골격계 질환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 위험성 감소 대책: • 안전 구역 설정: 시운전 중 작업자 외 출입을 제한하는 안전 구역을 설정해야 합니다. • 비상정지장치: 비상 상황 발생 시 즉시 기계를 멈출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 개인보호구 착용: 귀마개, 방진장갑등을 착용해 소음과 진동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합니다.
4. 포장 및 출하 공정 • 완성된 기계장치를 포장하고 운반하는 단계입니다. 운반 장비와 중량물 취급에 대한 위험이 주요합니다. • 주요 공정: • 포장: 완제품을 포장재로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합니다. • 운반: 지게차, 크레인 등을 이용해 제품을 트럭에 싣습니다. • 주요 위험요인: • 중량물 취급: 무거운 기계를 운반하다가 추락, 낙하, 전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운반 장비 사고: 지게차, 크레인 등의 운전 미숙 또는 장비 결함으로 인한 충돌, 전도 사고 위험이 있습니다. • 위험성 감소 대책: • 안전한 운반 방법: 중량물 운반 시 2인1조 작업을 원칙으로 하고, 정격 하중을 준수해야 합니다. • 운반 장비 관리: 지게차, 크레인 등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면허를 소지한 숙련된 작업자만 운전하도록 합니다. • 안전 통로 확보: 작업장 내 운반 장비와 작업자가 통행하는 안전 통로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