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인쇄업) 인쇄 및 현수막 간판 제작 설치 위험성평가2025-08-13 11:54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52. 인쇄 및 현수막 간판 제작 설치 위험성평가표.xlsx (20.8KB)

'인쇄 및 현수막 간판 제작 설치업' 작업의 주요 공정


'인쇄 및 현수막 간판 제작 설치업' 작업의 주요 공정은 크게 디자인 및 인쇄, 재단 및 마감, 설치의 세 단계로 나뉩니다. 

각 단계에는 고유한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철저한 위험성 평가가 필요합니다.


1. 디자인 및 인쇄 공정

이 단계는 컴퓨터 작업을 통한 디자인부터 실제 인쇄물 출력까지를 포함합니다.

   • 컴퓨터 작업: 장시간의 모니터 사용으로 인한 시력 저하나 VTD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과 같은 안과 질환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프린터 작업: 대형 프린터 사용 시 잉크에 포함된 유기용제에 노출되어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프린터의 회전 부위나 고온 부위에 의한 협착화상의 위험도 존재합니다.


2. 재단 및 마감 공정

인쇄된 현수막이나 간판 소재를 규격에 맞게 자르고 후가공하는 단계입니다.

   • 재단 작업: 칼, 재단기등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베임이나 절단사고의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 

     재단 시 발생하는 분진이나 유해 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도 주의해야 합니다.

   • 열처리/접착 작업: 현수막의 가장자리를 열풍기로 접착하거나 고주파 열접착기를 사용하는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접착제에 포함된 유기용제로 인한 중독 사고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설치 공정

완성된 간판을 지정된 장소에 부착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 고소 작업: 사다리, 안전대, 크레인등을 이용하여 높은 곳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추락사고가 가장 치명적인 위험 요소입니다.

   • 중량물 취급: 크고 무거운 간판을 운반하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낙하, 충돌, 허리 부상등 중량물 취급에 따른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기 작업: 간판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거나 전선 연결 작업을 할 경우 전기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