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회사가운 제조업(청각 장애인 고용) 위험성평가표2025-08-13 15:05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53. 회사가운 제조업(청각장애인 고용) 위험성평가표.xlsx (22.7KB)

회사가운 제조업(청각 장애인 고용) 주요공정


회사가운 제조업에서 청각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할 경우, 위험성평가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요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공정별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청각장애인 근로자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보건조치를 수립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1. 재단 공정

   • 공정 설명:원단을 재단기로 절단하거나, 수동 커터칼을 이용해 패턴에 맞게 자르는 작업

   • 주요 위험 요인:

   • 절단 및 협착:재단기 칼날에 의한 신체 절단 또는 끼임 사고

   • 근골격계 질환:장시간 서서 작업하거나, 무거운 원단을 운반하면서 발생하는 허리, 어깨 통증

   • 베임:수동 커터칼 사용 중 손가락 등 신체 부위 베임

 - 청각장애인 근로자 고려 사항:

   • 재단기 작동 시 발생하는 경고음(예: 칼날 하강 시)을 듣지 못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 경고등또는 진동 알림 장치를 병행하여 설치해야 함.


2. 봉제 공정

   • 공정 설명:재단된 원단들을 재봉틀을 이용해 봉합하는 작업

   • 주요 위험 요인:

   • 바늘 찔림:재봉틀 사용 중 바늘에 손가락이 찔리는 사고

   • 근골격계 질환:반복적인 자세 및 동작으로 인한 손목, 허리 통증

   • 소음:여러 대의 재봉틀이 동시에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노출

 - 청각장애인 근로자 고려 사항:

   • 소음은 청각장애인에게 진동 감각을 악화시키는 등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방음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좋음.

   • 재봉틀 고장이나 비상 상황 시, 시각적 신호를 통해 즉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3. 마감 공정

   • 공정 설명:봉제된 가운의 실밥을 정리하고, 단추, 지퍼, 라벨 등을 부착하는 작업

   • 주요 위험 요인:

   • 베임:가위 등 날카로운 도구 사용 중 신체 부위 베임

   • 화상:다리미 사용 중 고온에 의한 화상

   • 근골격계 질환:좁은 공간에서 장시간 앉아 작업하면서 발생하는 신체적 부담

  - 청각장애인 근로자 고려 사항:

   • 화상 위험이 있는 다리미 사용 시, 주변에 고온 주의시각적 표지판을 부착하여 위험을 알림.

   • 작업 지시나 소통 시, 필담이나 그림을 활용하여 정확한 내용을 전달해야 함.


4. 포장 및 출하 공정

   • 공정 설명:완성된 가운을 다림질하고, 포장한 후 운반하는 작업

   • 주요 위험 요인:

   • 화상:다리미 사용 중 화상

   • 근골격계 질환:무거운 박스를 운반하면서 발생하는 허리 통증 등

   • 교통사고:지게차나 운반 차량과의 충돌 사고

  - 청각장애인 근로자 고려 사항:

   • 지게차 등의 운반 차량이 접근할 때 경적 소리를 듣지 못하므로, 후진 시 경고등 점멸과 같은 시각적 알림을 강화해야 함.

   • 운반 경로를 명확히 표시하고, 위험 구역에는 시각적 안전펜스를 설치해야 함.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