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펌프 제작 및 수리업 위험성평가표2025-09-29 08:38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77. 펌프 제작 및 수리업 위험성평가표.xlsx (23.6KB)

펌프 제작 및 수리업의 주요 공정 


1. 자재 입고 및 이동 공정

 ◆ 펌프 제작에 필요한 무거운 자재(모터, 케이싱 주물, 대형 강판 등)를 하역하고 가공 설비로 옮기는 단계입니다.

   ∎ 주요 작업:크레인을 이용한 자재 하역 및 운반, 가공 기계에 자재 투입

   ∎ 주요 유해·위험요인:

     ▶ 낙하 (Dropping) :줄걸이(슬링) 불량이나 중량물 무게중심 불균형으로 인해 자재가 떨어져 작업자를 덮칠 위험.

     ▶ 충돌 (Collision):운반 중인 자재가 흔들리면서(진동, 선회) 주변 작업자나 다른 설비와 부딪힐 위험.

     ▶ 협착 (Pinching/Crushing):하역하거나 내려놓는 자재와 바닥, 적치대, 설비 사이에 신체 일부가 끼일 위험.


2. (수리 시) 펌프 분해 및 이동 공정

 ◆ 수리를 위해 입고된 대형 펌프를 작업대로 옮기고, 무거운 부품(모터부, 케이싱 등)을 해체하는 단계입니다.

   ∎ 주요 작업:크레인을 이용한 펌프 인양 및 작업대 이동, 모터 등 중량 부품 분리

   ∎ 주요 유해·위험요인:

     ▶ 낙하·전도:펌프의 무게중심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인양하여 펌프가 뒤집히거나 떨어질 위험.

     ▶ 불안정한 부품 분리:고착된 부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분리되면서 해당 부품이나 연결된 다른 부품이 떨어질 위험.

     ▶ 유해물질 누출:펌프 내부에 남아있던 잔류 액체(화학물질, 오일 등)가 인양 및 분해 과정에서 쏟아져 작업자를 덮칠 위험.


3. 조립 공정 

 ◆ 가공된 무거운 부품들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정밀하게 맞추고 조립하는 핵심 단계입니다.

   ∎ 주요 작업:크레인을 이용한 모터, 케이싱, 임펠러 등 중량 부품의 정밀 위치 조정 및 결합

   ∎ 주요 유해·위험요인:

     ▶ 협착 (Pinching/Crushing) :가장 빈번한 사고 유형으로, 크레인으로 부품을 내리며 결합하는 과정에서 부품과 부품 사이에 손이나 신체 일부가 끼이는 사고.

     ▶ 충돌:조립을 위해 부품을 미세하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흔들리는 중량물에 맞을 위험.

     ▶ 신호수-작업자 간 소통 오류:신호수의 지시를 운전자가 잘못 이해하거나, 작업자 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작동 사고.


4. 시험 및 출고 공정

 ◆ 완성된 펌프를 시험대로 옮기거나, 포장 후 상차하여 출고하는 마무리 단계입니다.

   ∎ 주요 작업:완성된 펌프를 시험대나 수조로 이동, 포장 후 화물차에 상차

   ∎ 주요 유해·위험요인:

     ▶ 낙하·파손:완성된 제품을 인양하던 중 떨어뜨려 제품이 파손되거나 작업자가 다칠 위험.

     ▶ 차량 위 추락:화물차 위에서 펌프 위치를 잡거나 결박 작업을 하던 중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떨어질 위험.

     ▶ 감전:크레인 이동 경로 주변에 노출된 전선이나 전기 설비에 크레인 본체나 와이어로프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감전.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