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업(모텔) 주요 공정
모텔 운영은 크게 고객을 직접 응대하는 프런트 오피스 업무와 객실을 정비하고 시설을 관리하는 백 오피스 업무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고객 응대 및 프런트 업무 (Front Office) ▶ 고객이 모텔에 들어와서 나갈 때까지의 전 과정을 관리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o 주요 작업:예약 접수, 고객 맞이(Check-in), 객실 안내, 고객 불만 및 요청 응대, 정산 및 퇴실(Check-out) o 주요 유해·위험요인: - 감정노동 및 직무 스트레스:주취자, 무리한 요구를 하는 고객 등 다양한 고객 응대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 장시간 서서 근무:장시간 직립 자세로 인한 하지정맥류, 족저근막염 등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위험. - 감염성 질환:불특정 다수의 고객을 응대하며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등 감염병 노출 위험. - 비상상황 발생:고객 간 다툼, 외부인 무단 침입, 기물 파손 등 예측 불가능한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 미흡.
2. 객실 정비 및 관리 업무 (Housekeeping) ▶고객이 쾌적하고 안전하게 객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관리하는 공정입니다. 모텔 운영에서 가장 많은 위험요인이 잠재된 핵심 관리 대상입니다. o 주요 작업:환기, 침구 교체, 객실 청소(화장실, 바닥, 집기류), 비품 정리 및 채우기, 청소 후 점검 o 주요 유해·위험요인: - 근골격계 질환: √ 무거운 침대 매트리스를 들거나 침구 시트를 교체하는 작업 시 허리, 어깨, 손목 등에 부담. √ 화장실, 바닥 등 낮은 자세에서 청소 작업을 반복하며 발생하는 무릎, 허리 통증. - 화학물질 노출: √ 락스, 세척제 등 청소용 화학제품 사용 시 피부 접촉으로 인한 피부염 또는 호흡기로 흡입하여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 √ 밀폐된 공간(특히 화장실)에서 청소 시 유해 가스 중독 위험. - 미끄러짐 및 넘어짐 (전도):물기가 있는 화장실 바닥이나 복도에서 미끄러지거나, 청소 도구, 전선 등에 걸려 넘어질 위험. - 감염성 질환:고객이 사용한 침구, 수건, 쓰레기 등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에 노출될 위험. - 베임 및 찔림:고객이 버린 쓰레기 속에 포함된 날카로운 물질(깨진 유리, 주사기 등)에 의한 상해 위험. - 감전:젖은 손으로 전기 기구(진공청소기, 드라이기 등)를 만지거나 손상된 전선을 사용할 경우 감전 위험.
3. 시설 및 안전 관리 업무 (Facility & Safety Management) ▶고객과 직원의 안전을 위해 모텔 건물의 전반적인 시설을 유지·보수하고 비상 상황에 대비하는 공정입니다. o 주요 작업:소방시설 점검, 전기시설 점검, 보일러 등 난방설비 관리, 승강기 관리, 주차장 관리, 건물 내외부 순찰 o 주요 유해·위험요인: - 화재 및 폭발: √ 누전, 가스 누출, 보일러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 √ 소화기, 화재감지기, 비상구 등 소방시설 관리 미흡 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위험. - 추락:건물 외부 청소, 간판 점검 등 고소 작업 시 추락할 위험. - 감전:노후되거나 불량인 전기 설비(배전반, 전선 등)를 점검하거나 수리할 때 발생하는 감전 사고. - 밀폐공간 질식:정화조, 물탱크 등 밀폐된 공간 점검 시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위험. - 주차장 사고:차량 이동 시 작업자와의 충돌, 기계식 주차설비 오작동으로 인한 끼임 사고.
4. 세탁 및 비품 관리 업무 ▶객실에서 사용된 침구, 수건 등을 세탁하고 필요한 비품 재고를 관리하는 공정입니다. o 주요 작업:세탁물 수거 및 분류, 대형 세탁기/건조기 작동, 세탁물 정리 및 운반, 비품 재고 파악 및 발주 o 주요 유해·위험요인: - 기계 끼임:대형 세탁기, 건조기 등 회전하는 설비에 신체나 옷이 끼일 위험. - 근골격계 질환:젖어서 무거워진 대량의 세탁물을 운반하거나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체 부담. - 화상:고온의 건조기나 다림질 설비에 의한 화상 위험. - 화학물질 노출:산업용 세제, 표백제 등 화학물질 접촉으로 인한 피부 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