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처리업) 폐기물 수집·처리업 위험성평가표2025-09-19 09:48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75. 폐기물 수집처리업 위험성평가표.xlsx (23.6KB)

폐기물 수집·처리업  주요공정
 

1. 수집 및 운반 공정

    o 폐기물을 발생 장소에서 처리 시설까지 옮기는 초기 단계입니다.

      o 주요 작업:상차, 운반, 하차

      o 유해·위험요인:

        - 교통사고:차량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 위험.

        - 추락:차량 위에서 작업하거나 상·하차 시 발을 헛디뎌 떨어질 위험.

        - 협착 (끼임):덤프 트럭의 적재함이나 압축 차량의 작동 부위에 신체 일부가 끼일 위험.

        - 충돌:지게차, 굴착기 등 장비와 작업자 간의 충돌 위험.

        - 유해물질 노출:폐기물에 포함된 유해 가스, 분진, 병원균 등에 노출될 위험.

        - 근골격계 질환:무거운 폐기물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길 때 발생하는 허리, 어깨 등의 부담.


2. 중간처분 (재활용) 공정

    o 수집된 폐기물을 소각, 파쇄, 선별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부피를 줄이거나 재활용하는 단계입니다.

      o 주요 작업:선별, 파쇄, 압축, 소각

      o 유해·위험요인:

        - 기계·설비 위험:

           o 끼임·절단:컨베이어 벨트, 파쇄기, 압축기 등 회전체에 옷이나 신체 일부가 끼거나 베일 위험.

           o 화재·폭발:소각로의 과열이나 인화성 폐기물로 인한 폭발 위험.

           o 감전:노후되거나 손상된 전기 설비로 인한 감전 위험.

        - 유해물질 노출:

           o 화학물질: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 증기, 화학물질에 의한 중독 및 피부 질환.

           o 분진:파쇄, 선별 작업 시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o 소음:파쇄기, 압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소음으로 인한 소음성 난청.

        - 생물학적 위험:의료 폐기물이나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 병원균에 감염될 위험.


3. 최종처분 (매립) 공정 

    o 중간처분 후 남은 잔재물이나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을 땅에 묻는 최종 단계입니다.

      o 주요 작업:반입, 하역, 다짐, 복토

      o 유해·위험요인:

        - 붕괴:매립장의 사면이나 쌓아놓은 폐기물 더미가 무너질 위험.

        - 추락:매립 작업 중 작업자가 깊은 곳으로 떨어질 위험.

        - 장비 위험:굴착기, 도저 등 대형 건설기계에 의한 충돌, 전복, 협착 사고.

        - 유해 가스 질식:매립층에서 발생하는 메탄, 황화수소 등 유해 가스로 인한 질식 또는 중독 위험.

        - 지반 침하:연약한 지반이나 매립이 불안정한 곳이 내려앉을 위험.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