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수도 처리기계 제조업 주요공정 1.1. 크레인/호이스트 작업 • 위험 요인: 중량물 낙하, 작업자와의 충돌협착, 와이어로프나 체인 파단, 과부하로 인한 전도. • 평가 항목: • 장비 점검: 크레인/호이스트의 정기적인 안전검사(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2톤 이상 장비는 2년마다) 및 일일 점검 실시 여부. • 방호 장치: 권과방지장치, 과부하 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등 안전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 • 작업 방법: 정격 하중 준수, 훅 해지장치 사용, 인양물 결속 상태, 작업반경 내 출입 통제, 작업 유도자 배치 여부. • 작업자 교육: 크레인/호이스트 관련 특별안전보건교육 이수 여부.
1.2. 자재 입고 및 보관 • 위험 요인: 중량물(강판, 형강 등)을 크레인으로 하역 및 이동 중 낙하사고. 불안정한 적재로 인한 전도위험. • 평가 항목: • 하역 작업: 지게차, 크레인 등 운반 장비의 운전자 자격 보유 여부. • 보관 관리: 중량물 보관 구역 지정 및 불안정하게 쌓는 행위 금지 여부.
1.3. 절단 및 가공 • 위험 요인: 대형 강판을 크레인/호이스트로 옮기다 발생할 수 있는 낙하충돌사고. 절단기(레이저, 프레스 등) 사용 중 절단협착위험. • 평가 항목: • 운반: 크레인으로 가공 장비에 자재를 올리거나 내릴 때 안전수칙 준수. • 기계 방호: 절단기의 방호장치(안전커버, 광전자식 안전 장치 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1.4. 용접 및 조립 • 위험 요인: 용접 중 발생하는 화재유해 가스흡입 위험. 조립 과정에서 부재를 크레인/호이스트로 이동 중 낙하충돌. • 평가 항목: • 중량물 이동: 크레인으로 부재를 정확하게 조립 위치에 옮기는 작업 절차. • 안전 조치: 용접 작업장 환기 시설 설치, 용접 불꽃 비산 방지 조치.
1.5. 출하 및 운반 • 위험 요인: 완성된 기계를 크레인으로 트럭에 상차하는 과정에서 낙하, 전도, 충돌사고. • 평가 항목: • 상차 작업: 상차 전 중량물의 무게를 정확히 확인하고, 결속 상태를 철저히 점검. • 운반 장비: 운반 장비(크레인, 트럭)의 안전 점검 및 운전자 교육 이수 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