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각종기계 또는 동 부속품 제조업 위험성평가표2025-07-23 02:32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25. 각종기계 또는 동 부속품제조업.xlsx (23.9KB)

각종 기계 또는 동 부속품 제조업 주요 공정


아래는 각 공정별 주요 위험 요인과 평가 항목을 간략하게 제시한 것입니다. 

실제 평가에서는 각 사업장의 특성과 설비, 작업 방식을 고려하여 더욱 상세하게 분석해야 합니다.

1. 재료 준비 및 전처리 공정

   • 주요 위험 요인:

      • 절단, 협착, 끼임:금속 절단기(톱, 레이저, 워터젯, 프레스 등) 사용 시 날카로운 칼날이나 고속 회전 부위에 신체 일부가 닿거나 끼일 위험.

      • 낙하, 전도, 충돌:중량물(금속 코일, 판재, 봉 등) 운반 및 적재 중 떨어지거나 넘어지면서 발생하는 사고.

      • 분진, 소음:금속 절단, 연마 등으로 인한 미세 분진 흡입 및 소음성 난청 위험.

      • 화상:열간 절단(플라즈마, 산소절단 등) 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한 화상.

   • 위험성 평가 항목 (예시):

      • 절단기 방호장치(안전커버, 비상정지장치 등) 설치 및 작동 상태는 양호한가?

      • 재료 운반 시 안전 수칙 준수 및 운반 장비(지게차, 크레인 등) 점검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가?

      • 중량물 적재 시 무너짐 방지 조치는 충분한가?

      • 분진 발생 작업 시 국소 배기 장치 및 방진 마스크 착용은 의무화되어 있는가?

      • 소음 발생 작업 시 귀마개/귀덮개 착용은 의무화되어 있는가?


2. 가공 (Machining & Forming) 공정

   • 주요 위험 요인:

      • 협착, 끼임, 말림:선반, 밀링, 드릴, 연삭기, 프레스 등 회전하거나 운동하는 기계 부위에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말리는 사고. (가장 빈번하고 치명적인 사고 유형)

      • 비산물:절삭 칩, 공구 파손, 가공 중 발생하는 파편 등으로 인한 안구 손상, 피부 손상.

      • 화상:절삭유, 금속 가공 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한 화상.

      • 유해가스, 흄:용접, 열처리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금속 흄, 오일 미스트 흡입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 감전:전기 설비의 절연 불량, 누전 등으로 인한 감전 사고.

      • 화재, 폭발:가연성 물질(절삭유, 가스) 취급 부주의,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 위험성 평가 항목 (예시):

      • 각 가공 설비(선반, 밀링, 프레스 등)에 적절한 방호장치(안전커버, 광전자식 안전 장치, 양수 조작식 등)가 설치되어 있고 정상 작동하는가?

      • 작업자가 개인 보호구(보안경, 보안면, 안전장갑 등)를 올바르게 착용하고 있는가?

      • 용접, 열처리 등 유해가스 발생 작업 시 국소 배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충분히 환기되는가?

      • 전기 설비의 접지 상태는 양호하며, 누전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가?

      • 인화성 물질 보관 및 취급 수칙은 준수되는가? 소화 설비는 충분히 비치되어 있는가?

      • 비상정지 장치의 위치는 쉽게 접근 가능하며, 작동 상태는 양호한가?


3. 열처리 (Heat Treatment) 공정

   • 주요 위험 요인:

      • 화상:고온의 열처리로, 가열된 금속 부품, 뜨거운 액체(담금질 오일) 등에 의한 화상.

      • 유해가스, 증기: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독 가스(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등), 담금질 오일 증기 흡입.

      • 폭발:가연성 가스(LNG, LPG), 오일 등의 누출 및 점화원 접촉에 의한 폭발.

   • 위험성 평가 항목 (예시):

      • 열처리로 주변 안전 구역 설정 및 출입 통제는 잘 이루어지는가?

      • 작업자는 내열 장갑, 보호복 등 적절한 개인 보호구를 착용하는가?

      • 가스 누출 감지기 및 경보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는가?

      • 국소 배기 장치가 설치되어 유해가스 배출이 원활한가?

      • 비상시 열처리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절차와 장비가 마련되어 있는가?


4. 용접 및 조립 (Welding & Assembly) 공정

   • 주요 위험 요인:

      • 아크 광선, 불꽃, 흄:용접 시 발생하는 강한 자외선/적외선에 의한 눈 손상, 불꽃 비산으로 인한 화상, 화재, 용접 흄 흡입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 감전:용접기, 전원 케이블 불량 등으로 인한 감전.

      • 낙하, 전도, 협착:대형 부품 조립 시 크레인, 지게차 등 운반 장비 사용 중 부품 낙하, 전도, 작업자와의 협착.

      • 근골격계 질환:반복적인 조립 작업, 부적절한 작업 자세, 중량물 수동 운반 등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 위험성 평가 항목 (예시):

      • 용접 작업 시 용접면, 보안경, 용접 장갑 등 개인 보호구 착용은 의무화되어 있는가?

   • 용접 흄 발생 시 국소 배기 장치 및 환기 시스템은 충분히 작동하는가?

   • 용접기 케이블 및 접지 상태는 양호한가?

   • 크레인, 지게차 등 운반 장비의 안전 장치(과부하 방지 장치 등)는 정상 작동하는가?

   • 조립 작업 시 안전 수칙이 마련되어 있고 작업자 교육은 충분한가?

   • 인체 공학적 작업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높이 조절 작업대, 보조 도구 등)?


5. 검사 및 테스트 (Inspection & Testing) 공정

   • 주요 위험 요인:

      • 제품 낙하/전도:테스트 중이거나 운반 중인 제품의 낙하 또는 전도.

      • 소음/진동:성능 테스트 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 장비 오작동:테스트 장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 위험성 평가 항목 (예시):

      • 테스트 중인 제품의 고정 상태는 안전한가?

      • 고성능 테스트 시 소음 방지 대책(방음벽, 귀마개)은 충분한가?

      • 테스트 장비의 정기 점검 및 교정은 이루어지는가?

      • 테스트 중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응 절차가 마련되어 있는가?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