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제조업) 정밀금형 제조업 위험성평가표2025-07-25 17:52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31. 정밀금형 제조업 위험성평가표.xlsx (33.4KB)

정밀금형제조업의 주요 공정

정밀금형제조업은 고정밀, 고품질의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기계 가공 및 수작업 공정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위험성 평가를 위해서는 각 공정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것이 중요해요.


정밀금형제조업의 주요 공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자재 입고 및 보관/운반 공정

• 내용:금형 제작에 필요한 소재(강재, 초경합금 등)의 구매, 입고, 검수, 창고 보관 및 각 공정으로의 운반.

• 주요 위험요인:중량물 낙하, 전도, 협착, 운반 장비(지게차, 크레인)에 의한 충돌, 불안정한 적재로 인한 붕괴.


2. 재료 절단/정형 공정

• 내용:금형 소재를 필요한 크기와 형태로 절단하고 대략적인 형상을 만드는 공정.

• 세부 작업:톱 절단(밴드쏘, 원형톱), 프레스 전단, 레이저/플라즈마 절단, 산소 절단, 대형 연삭 가공 등.

• 주요 위험요인:절단날/톱날에 의한 베임/끼임, 비산물(칩, 불꽃, 파편), 유해가스/흄, 소음, 분진, 화상.


3. 황삭/정삭 가공 공정 (CNC 가공)

• 내용:금형의 복잡한 형상을 고정밀 CNC 공작기계(머시닝센터, 선반, 밀링 등)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단계. 

          황삭은 대략적인 형태를 잡는 것이고, 정삭은 최종 치수와 표면 조도를 얻기 위한 정밀 가공이에요.

• 세부 작업:CNC 머시닝센터 가공, CNC 선반 가공, CNC 밀링 가공.

• 주요 위험요인:회전하는 공작물/공구에 의한 끼임/말림, 칩/절삭유 비산, 공구/공작물 이탈/파손, 절삭유 미스트 흡입, 소음, 감전, 기계 오작동.


4. 열처리 공정

• 내용:금형 강재의 경도, 강도,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온에서 열처리하고 냉각시키는 공정.

• 세부 작업:담금질, 뜨임, 소둔, 침탄 등.

• 주요 위험요인:고열 화상, 열처리로 폭발/화재(가스 누출, 담금질유 비산), 유해가스/흄 노출.


5. 연삭/연마/래핑 공정

• 내용:열처리된 금형 표면을 정밀하게 연삭하고, 더욱 매끄러운 표면을 얻기 위한 연마 및 래핑(Lapping) 작업.

• 세부 작업:평면 연삭, 원통 연삭, 프로파일 연삭, 수동 연마/폴리싱, 래핑.

• 주요 위험요인:연삭 숫돌 파손/비산, 분진 흡입(금속, 숫돌), 고열/화상, 소음, 진동, 근골격계 부담.


6. 방전 가공 (EDM) 공정

• 내용:복잡하거나 미세한 형상을 가공하기 위해 전극과 공작물 간의 방전 현상을 이용하는 공정.

• 세부 작업:와이어 방전(Wire EDM), 형조 방전(Sinker EDM).

• 주요 위험요인:감전, 유해가스/흄(유전액 분해물), 화재(유전액 인화), 피부염(유전액 접촉), 밀폐된 공간에서의 질식 위험.


7.조립 및 정합/미세 조정 공정

• 내용:가공된 금형 부품들을 조립하고, 최종 제품의 정밀도를 위해 미세하게 조정하고 다듬는 공정.

• 세부 작업:금형 부품 조립, 가공 잔여물 제거, 수동 정합, 디버링(Burr 제거), 측정 및 검사.

• 주요 위험요인:중량물(금형 부품) 낙하/전도, 손/신체 협착(조립 중),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한 베임/찔림, 유해 화학물질(세척제) 노출, 근골격계 부담.


8. 제품 검사 및 시운전 공정

• 내용:완성된 금형의 치수, 형상, 표면 상태 등을 최종 검사하고, 경우에 따라 실제 성형기에 장착하여 시운전하여 성능을 확인하는 공정.

• 세부 작업:3차원 측정, 육안 검사, 시운전.

• 주요 위험요인:중량물 낙하(금형 이동), 시운전 중 기계 오작동, 협착, 날카로운 금형에 의한 베임.


9. 포장 및 출하 공정

• 내용:완성된 금형을 포장하고 고객에게 운송하는 공정.

• 주요 위험요인:중량물 낙하/전도, 운반 장비(지게차, 크레인) 충돌/협착, 포장 작업 중 근골격계 부담.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