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인쇄업) 인쇄 제조업 (디자인, 인쇄물, 옥외광고물) 위험성 평가표2025-07-31 13:02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35. 인쇄제조업(디자인,인쇄물, 옥외광고물) 위험성평가표.xlsx (24.6KB)

인쇄 제조업 (디자인, 인쇄물, 옥외광고물) 위험성 평가

인쇄 제조업 (디자인, 인쇄물, 옥외광고물 포함)의 위험성 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공정들은 일반적인 인쇄물의 제작 과정부터 옥외광고물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구성되었습니다. 

위험성 평가는 각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그 위험성을 추정, 결정하여 적절한 통제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인쇄 제조업 (디자인, 인쇄물, 옥외광고물) 위험성 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

인쇄 제조업은 기계 설비, 화학물질, 고소 작업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포함하므로, 각 공정별 위험성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1. 디자인 및 기획 (사무/내근)

인쇄물 및 광고물의 초기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디자인을 완성하는 사무직 공정입니다.

  • 주요 업무:

  • 고객 상담 및 요구사항 파악

  • 디자인 시안 작업 (그래픽 디자인, 편집 디자인, 레이아웃 구성)

  • 인쇄물 및 광고물 제작 기획 및 견적 산출

  • 디자인 데이터 관리 및 백업

  • 외부 협력업체(예: 광고주, 설치 협력사)와의 커뮤니케이션

- 위험성 평가 중점 사항:

  • 근골격계 질환:장시간 컴퓨터 작업, 부적절한 자세, 반복적인 마우스/키보드 사용.

  • 시각 피로 및 VDT 증후군:모니터 장시간 사용, 부적절한 조명.

  • 사무실 환경 위험:미끄러짐/넘어짐, 사무기기(프린터, 복사기 등) 사용 중 부상, 불충분한 환기.

  • 정신적 스트레스:촉박한 납기, 빈번한 수정 요청, 고객 불만, 과도한 업무량.


2. 프리프레스 (Pre-press): 출력/제판

디자인 파일을 인쇄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인쇄판(PS판, CTP판)을 제작하는 전처리 공정입니다.

  • 주요 업무:

  • 디자인 파일 검토, 오류 수정 및 인쇄 최적화

  • 색상 교정 및 프로파일 관리

  • 필름 출력 또는 CTP(Computer To Plate) 장비를 이용한 인쇄판 제작

  • 제판된 인쇄판의 검수 및 보관

- 위험성 평가 중점 사항:

  • 화학물질 노출:현상액, 인쇄판 세척액 등 인쇄용 화학물질(알칼리성, 산성 용액) 취급 시 피부 접촉, 흡입.

  • 유기용제 증기 흡입:인쇄판 제작(특히 필름 현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 증기 노출.

  • 기계 끼임/충돌:자동 제판기, 출력 장비(롤러, 급지부 등) 작동 중 끼임, 말림, 충돌.

  • 감전:전기 장비(출력기, 제판기) 사용 및 관리 불량.

  • 화재/폭발:인화성 현상액, 세척액 등 화학물질 관리 부주의.

  • 미끄러짐:바닥에 화학물질, 물기, 용지 조각 등으로 인한 미끄러짐.


3. 프레스 (Press): 인쇄

프리프레스 공정에서 준비된 인쇄판과 용지, 잉크를 이용하여 실제 인쇄물을 생산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옵셋, 실크스크린, 디지털 인쇄 등 포함)

  • 주요 업무:

  • 인쇄기 준비 (잉크, 용지 장착 및 조정)

  • 인쇄 작업 실행 및 인쇄 품질(색상, 정합 등) 관리

  • 인쇄기 청소 및 유지보수

위험성 평가 중점 사항:

  • 기계 끼임/말림/협착:인쇄기 작동 중 회전하는 롤러, 급지부, 전달 장치 등에 손, 옷 등이 끼이거나 말림, 신체 협착.

  • 절단/베임:용지 교체, 인쇄기 세팅 또는 청소 시 날카로운 용지 모서리, 기계 칼날 등에 의한 부상.

  • 화학물질 노출:잉크, 세척액, 용제 등 유기용제(VOCs 포함) 피부 접촉 및 증기 흡입.

  • 유기용제 증기 흡입:잉크 및 세척액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 증기 흡입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신경계 영향.

  • 소음:인쇄기 작동 시 발생하는 고소음으로 인한 청력 손실.

  • 화재/폭발:인화성 잉크 및 용제 취급/보관 부주의, 정전기 스파크.

  • 낙상:기계 주변 정리 불량, 기름기, 잉크 등으로 인한 미끄러짐, 높은 곳에서 작업 시 추락.

  • 근골격계 질환:무거운 잉크 통, 용지 롤 운반, 반복적인 기계 조작 및 자세.


4. 포스트프레스 (Post-press): 후가공 및 제본

인쇄된 인쇄물을 완성된 제품 형태로 가공하고 마감하는 공정입니다. (재단, 접지, 코팅, 제본 등)

  • 주요 업무:

  • 인쇄물 재단 (재단기 사용)

  • 접지, 오시, 미싱 (접지기 사용)

  • 코팅 (라미네이팅, UV 코팅 등)

  • 박(箔) 가공, 엠보싱, 넘버링 등 특수 가공

  • 제본 (중철, 무선, 양장 등)

  • 완성된 제품 포장 및 분류

위험성 평가 중점 사항:

  • 절단/베임:재단기, 접지기, 제본기 등 날카로운 칼날이나 기계 부품에 의한 부상.

  • 기계 끼임/말림:자동화된 후가공 장비(롤러, 이송 장치) 작동 중 신체 부위가 끼이거나 말림.

  • 화학물질 노출:코팅액, 접착제 등 화학물질 피부 접촉 및 증기 흡입.

  • 화재/폭발:인화성 코팅액, 접착제 취급 및 보관 부주의.

  • 근골격계 질환:완성된 인쇄물 운반, 반복적인 수작업 및 기계 조작.

  • 낙하/충돌:적재된 인쇄물 더미 또는 가공 기계 주변의 불안정한 물체에 의한 낙하/충돌.

  • 소음:일부 후가공 장비(재단기, 제본기 등)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


5. 옥외광고물 제작 (별도 공정 - 필요시)

대형 실사 출력, 패널/구조물 가공, 조립, 전기 배선 작업, 그리고 현장 설치 및 해체까지 포함하는 옥외광고물 특화 공정입니다.

  • 주요 업무:

  • 대형 실사 출력 및 시트지/필름 가공

  • 패널(아크릴, 금속 등) 절단, 밴딩, 용접 등 가공 및 조립

  • 전광판, 조명 간판 등 전기 배선 및 조명 설치

  • 제작된 광고물의 운반 (대형 차량, 지게차 등)

  • 현장 설치 및 해체:고소 작업(사다리, 비계, 고소 작업차 이용), 크레인 작업, 전기 연결.

위험성 평가 중점 사항:

  • 고소 작업 낙상:사다리, 비계, 고소 작업차, 구조물 상부 작업 중 추락.

  • 낙하물 위험:고소 작업 중 공구, 자재, 광고물 등 낙하.

  • 전기 감전:전광판, 조명 등 전기 설비 설치 및 테스트, 배선 작업 중 감전.

  • 기계 끼임/절단:대형 실사 출력기, CNC 재단기, 용접기, 그라인더 등 사용 중 끼임, 절단, 화상.

  • 화학물질 노출:도료, 접착제, 세척제 등 유기용제 증기 흡입 및 피부 접촉.

  • 화재/폭발:용접 불꽃, 인화성 물질(도료, 용제) 취급 및 보관.

  • 차량/장비 충돌:대형 광고물 운반 및 현장 설치 시 운반 차량 및 장비(지게차, 크레인)와의 충돌.

  • 근골격계 질환:대형 구조물 및 자재 운반, 반복적인 조립 작업, 불안정한 자세.

  • 밀폐 공간 작업:간판 내부, 구조물 내부 작업 시 산소 결핍, 유해가스 노출.

  • 소음/진동:용접, 그라인더, 대형 장비 사용 시.


6. 물류 및 창고 관리

원자재(용지, 잉크, 필름, 패널 등)의 입고 및 보관, 그리고 완성된 인쇄물/광고물의 출고 및 운반을 담당하는 공정입니다.

  • 주요 업무:

  • 원자재 및 완제품 입/출고 확인

  • 자재 및 제품 분류, 적재 및 보관

  • 지게차, 핸드 팔레트 트럭 등을 이용한 운반

  • 재고 관리 및 창고 정리

위험성 평가 중점 사항:

  • 낙하/충돌:불안정한 자재/제품 적재로 인한 붕괴, 지게차 등 운반 장비 사용 중 충돌 또는 적재물 낙하.

  • 근골격계 질환:무거운 자재 및 제품 수동 운반 시 허리 통증, 어깨 결림 등.

  • 화재/폭발:인화성 자재(잉크, 용제, 시트지 등) 보관 부주의, 전기 설비 불량, 흡연 등으로 인한 화재.

  • 미끄러짐/넘어짐:바닥 정리 불량, 기름기, 물기, 자재 파편 등으로 인한 미끄러짐/넘어짐.

  • 정리정돈 불량:통로 확보 미흡, 비상구 폐쇄, 위험물 방치.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