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기계 제조업 주요공정 통신기계 제조업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으며, 각 공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유해·위험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재 입고 및 보관 공정 • 주요 작업: 원자재, 부품 등을 하역하고 지정된 장소에 보관 • 주요 위험요인: • 하역 작업: 지게차, 운반대차 등을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협착 사고. • 적재 및 보관: 불안정한 적재로 인한 낙하, 붕괴 사고. • 정리정돈 미흡: 통로에 적재물을 방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넘어짐, 부딪힘 사고. • 화학물질 취급: 납땜용 솔더(납), 세척제 등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중독, 화재, 폭발 위험.
2. 가공 및 조립 공정 • 주요 작업: PCB 가공, 부품 장착, 케이블 절단, 단자 압착, 외함 조립 등 • 주요 위험요인: • 기계 장치 사용: 프레스, 드릴, 절단기, 연삭기 등 기계 사용 시 끼임, 절단, 베임, 감전 사고. • 납땜 작업: 납 연기, 흄(Fume)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및 중독 위험. • 수작업: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손목터널증후군 등). • 전기 작업: 전기 회로 점검, 통전 시험 시 감전, 화재 위험. • 방사선 발생: 일부 장비에서 X-ray 등 방사선이 발생할 수 있음.
3. 검사 및 시험 공정 • 주요 작업: 제품의 성능, 품질 검사, 통전 시험, 고온/저온 환경 시험 등 • 주요 위험요인: • 전기 감전: 고전압을 사용하는 시험 장비 취급 시 감전 위험. • 고온/저온: 항온항습기 등 시험 장비 가동 중 화상, 동상 위험. • 소음: 소음이 발생하는 장비 가동 시 소음성 난청 위험. • 레이저: 제품 검사에 사용되는 레이저로 인한 시력 손상 위험.
4. 포장 및 출하 공정 • 주요 작업: 제품 포장, 팔레트 적재, 지게차를 이용한 상차 작업 • 주요 위험요인: • 포장 작업: 포장용 기계에 의한 끼임 사고, 칼날 등 도구 사용에 의한 베임 사고. • 운반 및 상차: 지게차 충돌, 낙하물에 의한 사고. • 무거운 물건 취급: 포장된 제품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근골격계 질환 발생.
5. 유지보수 및 수리 공정 • 주요 작업: 장비 고장 시 수리, 정비, 청소 등 • 주요 위험요인: • 정비 중 불시 가동: 장비의 전원을 차단(LOTO, Lock Out, Tag Out)하지 않고 수리하여 발생하는 끼임, 협착 사고. • 유해물질 노출: 세척제, 윤활유 등 화학물질에 노출. • 높은 곳 작업: 사다리 등 불안정한 장비를 사용하다가 추락.
위험성평가 중점 관리사항 위와 같은 주요 공정별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한 후에는 위험성 감소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특히, 통신기계 제조업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안전보건교육 강화: 각 공정별 위험요인과 안전수칙에 대한 근로자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 • 정리정돈 및 청소(5S) 생활화: 작업장 내 통로 확보, 적재물 관리 등을 통해 넘어짐, 부딪힘 사고 예방. • 안전보호구 지급 및 착용: 납땜 작업 시 방진 마스크, 전기 작업 시 절연장갑, 소음 발생 장소에서 귀마개 착용 등. • 방호장치 설치 및 관리: 회전체 덮개, 프레스 안전장치 등 위험 기계·기구에 대한 방호조치 철저. • 환기장치 설치: 납 연기, 유해화학물질이 발생하는 작업장에는 국소배기장치 등 환기시설 설치. • 작업 표준화: 위험성이 높은 작업에 대한 표준 작업 절차를 마련하고 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