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제목(서비스업) 음식업 위험성평가표2025-07-31 16:12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037. 음식업 위험성평가표.xlsx (23.5KB)

음식점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

음식점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으며, 

각 공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유해·위험요인과 잠재적 사고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식자재 입고 및 보관 공정

  • 주요 작업: 식자재 하역, 운반, 냉장/냉동고 또는 창고에 보관

  • 주요 위험요인:

  • 하역 및 운반: 무거운 식자재를 운반하다가 넘어지거나 떨어뜨려 다칠 수 있습니다. 운반기구(카트, 핸드 파렛트 트럭 등) 사용 중 충돌, 협착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보관: 냉장/냉동고 문에 손이 끼이거나, 불안정하게 쌓아둔 식자재가 무너져 깔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정리정돈: 바닥에 떨어진 음식물이나 물기로 인해 미끄러져 넘어질 수 있습니다.


2. 조리 공정

  • 주요 작업: 식자재 세척, 손질, 가열 조리(튀김, 볶음, 끓임 등), 칼/기계 사용

  • 주요 위험요인:

  • 칼, 조리기구 사용: 칼이나 슬라이서 같은 기계에 손이 베이거나 끼일 수 있습니다.

  • 가열 조리: 뜨거운 기름이나 물에 의한 화상, 화재, 뜨거운 조리기구에 접촉하여 데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기: 조리기구(인덕션, 튀김기, 오븐 등)의 전선 피복 손상으로 인한 감전, 누전으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 화학물질: 세척제, 소독제 등 화학물질이 피부에 닿거나 흡입하여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조리흄: 식용유, 지방 등이 고온에서 가열될 때 발생하는 조리흄(Cooking Fume)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배식 및 서빙 공정

  • 주요 작업: 조리된 음식을 손님에게 전달, 서빙

  • 주요 위험요인:

  • 이동: 바닥에 떨어진 물기나 음식물에 미끄러지거나, 다른 사람과 부딪혀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무거운 음식 운반: 여러 개의 접시나 무거운 쟁반을 들고 가다가 허리, 어깨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 파손: 유리잔, 접시 등이 깨져 날카로운 파편에 손이나 발을 다칠 수 있습니다.


4. 설거지 및 청소 공정

  • 주요 작업: 식기 세척, 주방 및 홀 바닥 청소, 쓰레기 분리수거

  • 주요 위험요인:

  • 세척: 깨진 그릇에 손이 베이거나, 날카로운 식기에 찔릴 수 있습니다. 세척제에 의한 피부 질환(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바닥 청소: 바닥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계 사용: 식기세척기, 음식물 처리기 등 기계를 사용하다가 끼이거나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청소용품: 락스, 세제 등 화학물질을 혼합하여 유독가스가 발생하거나, 피부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5. 고객 응대 공정

  • 주요 작업: 주문 접수, 계산, 고객 불만 처리

  • 주요 위험요인:

  • 고객과의 마찰: 고객과의 갈등 상황에서 폭언, 폭행 등 감정노동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포스기, 카드 단말기: 전선이 노출되어 감전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