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가공 제조업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 육류가공 제조업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은 원료육의 입고부터 최종 제품의 출하까지 여러 단계로 나뉩니다. 각 공정별로 다양한 기계와 도구를 사용하고, 저온 환경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만큼 특화된 위험요인들이 존재합니다. 다음은 육류가공 제조업의 주요 공정과 각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입니다.
1. 원료육 입고 및 보관 공정 • 주요 작업: 냉동/냉장 상태의 원료육을 하역하여 냉동/냉장 창고에 보관하고, 필요시 해동하는 작업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중량물 취급: 무거운 원료육 박스를 운반하다 허리, 어깨 등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떨어뜨려 발등을 다칠 수 있습니다. • 지게차 및 운반기구: 지게차 운행 중 충돌, 적재물이 낙하하여 깔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미끄러짐: 냉장/냉동 창고 바닥의 물기나 서리 때문에 미끄러져 넘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 저온 환경: 장시간 냉동 창고에서 작업 시 동상, 저체온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2. 전처리(해체, 정형) 공정 • 주요 작업: 원료육을 부위별로 해체하거나, 뼈와 지방을 제거하여 정형하는 작업입니다. 주로 칼, 골절기, 밴드쏘 등 날카로운 도구나 기계를 사용합니다. • 주요 위험요인: • 칼 사용: 해체 및 정형 작업 중 손이 베이거나 찔리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 기계 사용: 골절기나 밴드쏘와 같은 기계를 사용하다가 신체 부위가 끼이거나 절단될 위험이 높습니다. • 미끄러짐: 작업대나 바닥에 묻은 기름, 혈액 등으로 미끄러져 넘어질 수 있습니다.
3. 분쇄, 혼합 및 충전 공정 • 주요 작업: 정형된 육류를 분쇄기나 혼합기에 넣고, 양념이나 첨가물과 혼합한 후 소시지 케이싱에 충전하는 작업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기계 끼임: 분쇄기나 혼합기의 작동 중 내부 회전 날에 손이나 팔이 끼이거나 말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미끄러짐: 바닥의 물기나 기름으로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기계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 반복 작업: 반복적인 충전 및 혼합 작업으로 인해 손목, 팔 등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가열(열처리), 냉각 및 훈연 공정 • 주요 작업: 충전된 육류를 끓는 물에 가열하거나, 스모크하우스에서 훈연하는 작업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화상: 뜨거운 물이나 증기에 의한 화상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화재: 훈연 작업 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존재합니다. • 미끄러짐: 냉각 과정에서 바닥에 물기가 생겨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5. 포장 및 출하 공정 • 주요 작업: 최종 제품을 진공 포장, 박스 포장하여 냉장/냉동 창고에 보관하거나 출하하는 작업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포장 기계: 랩핑기나 밴딩기 등 포장 기계에 손이 끼이거나 협착될 수 있습니다. • 중량물 취급: 포장된 박스를 들어 올리거나 운반하다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게차 충돌: 출하 작업 중 지게차와 작업자가 충돌할 위험이 있습니다. • 칼 사용: 포장재를 개봉하거나 정리할 때 칼에 베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