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포장지 제조업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 플라스틱 포장지 제조업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주요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공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예방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원료 준비 및 혼합 공정 • 주요 작업:플라스틱 원료(펠렛, 분말 등)와 각종 첨가제(안료, 안정제 등)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공정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화학물질 노출:안료, 첨가제 등 유해 화학물질이 포함된 원료 취급 시 흡입, 피부 접촉, 섭취 등으로 인한 중독이나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분진 형태로 공기 중에 비산될 경우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물리적 위험:무거운 원료 포대를 운반하거나 적재하는 과정에서 넘어짐, 근골격계 질환,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음:분쇄기, 혼합기 등의 장비 가동 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청력 손상 위험이 있습니다.
2. 압출(Extrusion) 공정 • 주요 작업:혼합된 플라스틱 원료를 가열하여 녹인 후, 압출기를 통해 얇은 필름 형태로 뽑아내는 공정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화상/열상:고온으로 가열된 압출기, 용융된 플라스틱 등에 직접 접촉하여 화상이나 열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기계적 위험:압출기의 회전하는 스크류, 롤러 등 움직이는 부위에 신체가 끼이거나 말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청소, 점검, 보수 작업 중 가동되는 기계에 의한 끼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 유해물질 방출:고온 가열 과정에서 플라스틱 원료 및 첨가제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나 기타 유해 가스가 방출될 수 있습니다.
3. 인쇄 및 코팅 공정 • 주요 작업:압출된 플라스틱 필름에 디자인, 제품 정보 등을 인쇄하거나 특수 코팅을 입히는 공정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화학물질 노출:인쇄 잉크, 코팅제, 희석제 등에 포함된 유기용제(톨루엔, MEK, 아세톤 등)에 대한 노출 위험이 높습니다. 흡입 시 중독, 어지러움,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피부 접촉 시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화재/폭발:유기용제는 인화성이 높아 화재나 폭발 위험이 존재합니다. 특히 환기가 불충분한 작업 환경에서 위험성이 커집니다. • 기계적 위험:인쇄기, 코팅기 등의 롤러나 회전하는 부위에 손가락 등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가공 및 마감 공정 • 주요 작업:인쇄된 필름을 필요한 크기로 절단(Cutting), 접착(Laminating), 봉제(Sealing)하여 최종 제품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 주요 위험요인: • 베임/찔림:필름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칼날이나 기계에 의해 손, 팔 등을 베이거나 찔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화상:필름을 열로 접착하는 실링기 등 고온 설비에 의한 화상 위험이 있습니다. • 기계적 위험:절단기, 재단기 등 움직이는 기계 부위에 손이나 옷자락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근골격계 질환:반복적인 동작이나 부적절한 작업 자세로 인해 요통, 어깨 통증 등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험성 평가 시 고려사항 위와 같은 각 공정별 위험요인에 대해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는 다음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위험성 파악:각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그 위험이 실제로 어떤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합니다. • 위험성 추정:위험요인별로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심각도)을 평가하여 위험의 크기를 추정합니다. • 개선대책 수립:위험성이 높은 작업부터 우선적으로 안전 대책을 수립합니다. 예를 들어, 유해물질 노출이 우려되는 공정에는 국소배기장치 설치, 개인 보호구 지급을, 기계적 위험이 있는 공정에는 방호 덮개 설치, 비상정지 장치 부착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위험성 감소대책 실행 및 기록:수립된 개선 대책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문서로 기록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